AHA(아하): Alpha Hydroxy Acid: 락틱애씨드, 글라이콜릭애씨드, 시트릭애씨드, 말릭애씨드, 만델릭애씨드, 타타릭애씨드 / Lactic Acid, Glycolic Acid, Citric Acid, Malic Acid, Mandelic Acid, Tartaric Acid
> AHA: Alpha Hydroxy Acid <
각질을 케어하는데 도움을 주는,
화학적 각질제거제인 AH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AHA(아하)는 Alpha Hydroxy Acid의 줄임말입니다.
AHA는 수용성의 산 성분이며
과일에서 추출해 과일산이라고도 불리고,
피부의 각질을 연화시켜 각질을 탈락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.
AHA의 종류로는
1. 락틱애씨드 (Lactic Acid)
2. 글라이콜릭애씨드 (Glycolic Acid)
3. 시트릭애씨드 (Citric Acid)
4. 말릭애씨드 (Malic Acid)
5. 만델릭애씨드 (Mandelic Acid)
6. 타타릭애씨드 (Tartaric Acid)가 있습니다.
> 락틱애씨드 Lactic Acid <
락틱애씨드 Lactic Acid는 우유에서 추출한 젖당을
발효한 유기산으로 젖산이라고도 합니다.
성분명: 락틱애씨드
영문명: Lactic Acid
시성식: C3H6O3
CAS No. 50-21-5 / 79-33-4
EWG: 1-4등급
배합목적: 착향제, 보습제, 피부컨디셔닝제(보습제),
피부컨디셔닝제(기타), pH조정제
> 글라이콜릭애씨드 Glycolic Acid <
사탕 수수에서 추출한 글라이콜릭애씨드 Glycolic Acid는
락틱애씨드보다 분자 크기가 작습니다.
성분명: 글라이콜릭애씨드
영문명: Glycolic Acid
시성식: C2H4O3
CAS No. 79-14-1
EWG: 1-4등급
배합목적: pH조정제
> 시트릭애씨드 Citric Acid <
시트릭애씨드는 오렌지, 레몬 등의
시트러스 계열(감귤류)의 과일에서 추출하며
산도 조절용으로도 많이 쓰입니다.
성분명: 시트릭애씨드
영문명: Citric Acid
시성식: C6H8O7
CAS No. 77-92-9 / 5949-29-1
EWG: 1-2등급
배합목적: 금속이온봉쇄제, 착향제, pH조정제
> 말릭애씨드 Malic Acid <
말릭애씨드 Malic acid는 사과에서 추출해
사과산이라고도 하며 입자가 큰 편입니다.
성분명: 말릭애씨드
영문명: Malic Acid
시성식: C4H6O5
CAS No. 636-61-3 (D-) / 6915-15-7 / 97-67-6 (L-)
EWG: 1-4등급
배합목적: 착향제, pH조정제
> 만델릭애씨드 Mandelic Acid <
만델릭애씨드 Mandelic Acid는
물과 극성 유기용매에 용해되는
방향족 알파 하이드록시애씨드이고,
순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편입니다.
성분명: 만델릭애씨드
영문명: Mandelic Acid
시성식: C8H8O3
CAS No. 17199-29-0 / 90-64-2
EWG: 1등급
> 타타릭애씨드 Tartaric Acid <
타타릭애씨드는 포도에서 추출하여
주석산이라고도하는 유기산입니다.
성분명: 타타릭애씨드
영문명: Tartaric Acid
시성식: C4H6O6
CAS No. 133-37-9 (DL-) / 147-71-7 (D-) / 87-69-4 (L-)
EWG: 1등급
배합목적: 착향제, pH조정제

화학적 각질제거를 위한 AHA의 성분으로
글라이콜릭애씨드, 락틱애씨드가 주로 사용되며
만델릭애씨드도 쓰이고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화장품에서의 AHA의 농도는 2~10% 정도 사용됩니다.
* AHA 성분에 대한 국내 배합 한도는 없으나,
0.5% 이상 함유시 표시에 관한 규정이 있습니다.
중국에서 AHA 배합 한도는 6% 이하 입니다.